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(SFTS) 바이러스, 이런게 궁금합니다
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(SFTS) 바이러스, 이런 게 궁금합니다
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(SFTS) 바이러스와 관련하여 가장 자주 문의되는 질문을 알려드립니다.
여름철 야외활동이나 작업에 나서는 분들은 해당사항을 꼭 숙지할 것을 당부드립니다.
질병관리본부 SFTS 전담 민원상황실(043-719-7086)
SFTS, 이런게 궁금합니다.
질문 |
응답 |
1. 얼마전 진드기에 물렸으나 현재 아무 증상이 없다. 어떻게 해야 하나? |
현재 국내에 서식하는 작은소참진드기의 100마리중 99마리는 SFTS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SFTS에 걸리게 될 가능성은 극히 낮습니다. 하지만, 진드기에 물린 뒤 6-14일의 잠복기 이내에 38∼40도에 이르는 고열이나 구토, 설사와 같은 소화기 증상이 있으면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셔서 진료 및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. |
2. 물린 진드기를 보관하고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? |
진드기가 확보된 경우, 의심소견을 보이는 환자에 한하여 우선적으로 SFTS 바이러스 보유 여부를 확인해 드리고 있습니다. |
3. 작은소참진드기의 크기, 색은 어떠한가? 날개는 있는가? |
작은소참진드기의 크기는 약 2∼3mm, 몸은 갈색빛을 띄고 있습니다만, 날개는 없습니다. |
4. 우리집/애완동물에서 진드기를 발견했는데 이것이 작은소참진드기 아닌가? |
작은소참진드기는 주로 우거진 풀숲이나 야산 등에 분포하고, 일반적인 도시환경에 흔하게 서식하지는 않습니다. 또한 흔히 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집먼지진드기와도 완전히 다른 종류입니다. |
5. 의심신고환자들을 주로 어느 지역에 있나? |
의심신고환자는 확진환자와 다릅니다. 진드기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, 의심환자들은 특정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일 5-7건이 전국적으로 신고되고 있습니다. 의심환자는 SFTS가 아닌 경우가 있으며, 지금까지 확진된 환자는 2명입니다. |
6. 가장 좋은 예방대책은 무엇인가? |
SFTS는 주요 매개체인 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면 걸리지 않는 질환입니다. 진드기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 |
7. 어떤 기피제를 사용해야 하는가? |
일반적으로 기피제는 진드기가 좋아하지 않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, 진드기에 대한 접촉을 줄이는 보조적 수단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. 해충기피제 형태의 제품으로 가까운 약국, 마트 등지에서 구하실 수 있습니다. |
8. 애완동물 또는 가축이 진드기에 물렸다. 어떤 조치를 취해야하나? |
작은소참진드기에 물린다고 해서 반드시 SFTS에 감염되지는 않습니다. 특히나 동물에 의한 인체 감염은 보고된 바 없습니다. |
9. 진드기가 도시에 존재 하는가? |
도시지역 수풀이나 시가지 주변 풀숲에도 드물게 존재할 수 있습니다. 이런 장소에서 활동시에는 동일한 예방수칙을 권고합니다. |
10. 가족 간 혹은 사람 간의 전파는? |
SFTS는 진드기와 같은 매개체를 통해 감염되는 특성을 가진 질환입니다. 호흡기로 전파가 일어나는 질환들과는 달리, 매개체가 존재해야만 SFTS 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할 수 있어, 일상적 생활환경에서는 사람간 전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. |